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1

식물 세포의 구조와 기능-3 (6) 미소체 미소체는 지름이 0.2~1.7μm인 단일 막으로 둘러싸인 기관으로, 이에는 패도록 시 솜과 글리옥시솜이 있다. 패도록 시 솜에는 과산화수소가 많이 들어 있는데 이것을 분해하는 catalase가 있어서 과산화수소를 물 분자로 무독화시킨다. 잎의 패도록 시 솜은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와 함께 광호흡을 진행한다. 지질함량이 높은 종자의 발아 과정에서 지방산의 분해를 돕는 역할을 하는 미소체는 글리옥시솜이다. 글리옥시솜에서 분해된 지방산의 대사물질은 미토콘드리아를 거쳐 세포질에서 당으로 전환되는데 이 과정을 포도당신생합성이라고 한다. (7) 액포 액포는 두께가 5~6nm 정도의 단일 박인 액포막에 둘러싸여 있으며. 대부분의 식물세포에서 뚜렷하게 관찰된다. 정당 분열세포에는 많은 수의적은 액포가 있으.. 2023. 4. 14.
식물 세포의 구조와 기능-2 2. 세포소기관 원형질막으로 둘러싸여 있는 세포의 내부 공간은 젤리 상의 진한 수용액으로 채워져 있으며, 세포막이 매우 잘 발달하여 있다. 발달한 세포막은 특수하게 구획화된 다수의 세포소기관을 형성하고, 각 기관이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여 세포의 생명 활동이 진행된다. (1) 소포체 소포체는 세포에서 가장 광범위하고 다목적이며 적응 능력이 큰 소기관이며, 세포질을 가로질러 원형질막과 핵막을 연결하는 연속적인 관과 편평한 소낭으로 구성된 3차원적 망상구조로 되어 있다. 소포체의 세포질 쪽에 리보솜이 부착된 영역을 조면소포체라 하고, 리보솜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을 활면소포체라고 한다. 식물의 소포체는 막, 액포 또는 분비 경로로 운송될 단백질의 합성 ㆍ가공 및 분류, 그리고 이들 단백질에 대한 배당결합의 형성.. 2023. 4. 14.
식물 세포의 구조 및 기능-1 1. 식물세포의 기본 구조 모든 생물의 기본단위는 세포이다. 다세포 생물이 세포를 기본단위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는 생각은 1665년 Hooke가 세포를 발견한 후에 구체화 되었다. 이후 Schleiden(1838)과 Schwann(1839)은 각각 식물과 동물이 세포로 되어 있다고 제안하였으며, 원형질체는 생명현상의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이며, 핵을 가진 세포만이 세포를 만들 수 있다는 세포설을 주장하였다. 최초로 세포가 관찰되고 세포설이 제시된 이후 수백 년이 지난 오늘날에는 고해상 능의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관찰과 다양한 분자 수준에서의 생리/생화학적 연구를 통하여 세포의 상세한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게 되었다. 1) 세포외피와 기질 세포외피란 원형질막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물질과 구조를 말하며, 식물세.. 2023. 4. 14.